Seung Oh

엔그램의 공동창업자이자 대표를 맡고 있습니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분들이 영어를 사용하여 업무와 학업을 할 때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매일 고민합니다.

출산율 영어로 (Birthrate, Fertility Rate 차이와 뜻)

'출산율'은 영어로 birthrate 혹은 fertility rate이며 그 산출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요즘 우리나라는 매우 저조한 출산율로 위기를 맞았습니다. 그렇다보니 다양한 미디어에서 출산율에 대한 언급이 굉장히 많은데요, 이런 출산율을 영어로는 뭐라고 표현할까요?

공무원 영어로 (Public Official, Public Officer, Public Servant, Civil Servant, Government Employee 차이와 뜻)

'공무원'은 영어로 public official, civil servant, 또는 government employee라고 합니다. Public official은 ‘공무원’을 영어로 쓸 때 흔히 사용하는 용어로 public officer 또는 public servant라고도 합니다. Civil servant는 영어로 행정직 공무원을 의미하며, government employee는 영어로 정부 기관에서 일하는 직원을 모두 포괄합니다.

여행 영어로 (Trip, Travel, Voyage 차이와 뜻)

여행'은 영어로 trip, travel, voyage 등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오랜 코로나-19의 여파로, 집 안에 갇혀있는 신세였던 많은 사람들의 여행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였습니다. 그래서인지 여행 유튜버의 숫자나 인기도 최근 함께 늘어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행을 의미하는 영단어들은 어떤 의미와 차이를 가지는지 아래에서 함께 알아봅시다.

김 영어로 (Dried Seaweed, Gim, Steam 차이와 뜻)

먹는 '김'은 영어로 dried seaweed나 gim이라고 부르며, 수증기를 가리키는 '김'은 영어로 steam이라고 표현합니다. Dried seaweed는 영어로 말린 해초라는 뜻입니다. Gim은 한국어 '김'을 영어로 음차하여 로마자 표기한 것입니다. Steam은 영어로 물이 끓을 때 생겨나는 뜨거운 기체를 의미합니다.

골반 영어로 (Hip, Pelvis 차이와 뜻)

'골반'은 영어로 hip 또는 pelvis라고 표현합니다. 골반은 우리 몸에서 몸통의 아래쪽, 엉덩이 부분을 이루는 뼈들로 구성된 부위입니다. 우리나라도 점점 서구화된 미적 기준을 갖게되면서 골반이라는 단어의 사용 빈도 수도 훨씬 높아진 것 같습니다.

도형 영어로 (Figure, Shape 차이와 뜻)

도형은 영어로 figure 또는 shape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도형은 국어사전에 따르면, "그림의 모양이나 형태," 수학적으로는 "점, 선 면, 체 또는 그것들의 집합을 통틀어 이르는 말. 사각형, 원, 구 따위를 이른다"라고 정의됩니다. 그럼 각각의 정의에는 어떤 영단어가 더 알맞을지, 아래에서 함께 알아봅시다.

놀이공원 영어로 (Amusement Park, Theme Park 차이와 뜻)

놀이공원은 영어로 amusement park이나 theme park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세계 어느 나라를 가도 놀이공원은 인기 있는 관광지 중 하나입니다. 롤러코스터, 회전 목마 등 다양한 놀이기구를 즐길 수 있는 장소가 바로 놀이공원이라고 일컬어지죠.

별자리 영어로 (Constellation, Star Sign, Zodiac Sign 차이와 뜻)

'별자리'는 영어로 constellation, star sign, zodiac sign으로 표현합니다. Constellation은 별의 형태에 이름을 붙인 '별자리'를 영어로 쓴 표현입니다. Star sign과 zodiac sign은 점성술에서 황도 12궁(처녀자리, 사자자리, 천칭자리, 전갈자리 등)중 한 가지를 가리킵니다.

선배님 영어로 (Upperclassman, Friend, Colleague, Supervisor 차이와 뜻 )

'선배님'을 영어로 표현해야한다면 맥락에 따라 upperclassman, friend, colleague, supervisor 등이 맞습니다.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학교, 회사 등 어떤 분야에 있어 먼저 입성한 사람을 두고 존중의 의미로 '선배' 내지는 '선배님'이라고 부르곤합니다. 이를 영어로 전달하고자 한국 사람들이 많이들 'senior'이라고 표현하지만 영어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표현인 것이 사실입니다.